## 1위 #### 2년 전 인기였던 프롬프트 엔지니어, 지금은 어떻게 됐나..."직무에서 역량으로" > 📉 '프롬프트 엔지니어' 직업이 AI 기술 발전으로 인해 사실상 사라지고 있음.<br>💡 사용자들이 프롬프트를 잘 활용하는 것이 기본 역량이 되었으며, 기업들은 직원들에게 AI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.<br>📈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더 이상 인기 직종이 아니며, 오히려 AI 트레이너나 데이터 전문가 등이 선호되는 직군이 됨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9983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2위 #### 국산 AI 검색 엔진 돌풍...오픈리서치, AI 검색 플랫폼 6주 만에 사용자 100만 돌파 > 🚀 오픈리서치의 AI 검색 엔진 '오오에이아이'가 출시 6주 만에 100만 MAU를 돌파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임.<br>📈 사용자들에게 평균 3초 안에 신뢰성 높은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, 대학생을 주 타겟으로 한 마케팅 전략이 효과를 봤음.<br>🔧 지속적으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신규 기능을 추가하고,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음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9999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3위 #### 김지현 한국딥러닝 대표 “비전 OCR은 돈 버는 AI...정확도·사업성 모두 잡아” > 🤖 김지현 한국딥러닝 대표는 광학문자인식(OCR) 기술이 AI 기업의 수익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함.<br>📈 한국딥러닝은 VLM 기반 OCR 기술을 국내 최초로 선보이며, 지난해 누적 매출 100억원을 초과함.<br>🚀 VLM OCR은 의미 기반 추론이 가능하여, 기존 OCR의 한계를 극복하며 기업의 문서 처리 시간을 90% 이상 단축시킴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9977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4위 #### 오픈AI 핵심 연구원도 영주권 신청 거부로 미국 떠나 > 🚪 오픈AI의 핵심 연구원이 영주권 신청 거부로 미국을 떠나게 되었으며, 이는 AI 기업들이 외국인 인력을 잃을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되고 있음.<br>🧑‍💻 해당 연구원은 원격 근무를 할 예정이며, 미국 정부의 비자 정책 변화가 기술계에 미치는 어려움을 잘 보여줌.<br>📉 많은 외국인 과학자들이 미국을 떠날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으며, 이는 미국의 AI 리더십에 위협이 될 수 있음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70008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5위 #### sLM 성능 높이는 '순차적 몬테카를로' 기법 등장 > 🧠 새로운 '순차적 몬테카를로' 기법을 통해 소형 언어 모델(sLM)이 대형 언어 모델(LLM)을 초과하는 성능을 달성함.<br>💡 연구진은 코드의 구조에 집중하여 효율적으로 결과를 개선하고, 초기 단계에서 잘못된 코드를 빠르게 제거하는 방식을 택함.<br>📈 SMC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실험에서 sLM의 정확도와 견고성을 향상시켜, 여러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9980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6위 #### 오픈AI, 딥 리서치 '라이트 버전' 출시...챗GPT 무료 사용자로 확대 예정 > 📢 오픈AI가 챗GPT의 '딥 리서치' 경량 버전을 출시하여 무료 사용자에게도 접근성을 확대할 예정임.<br>💡 경량 버전은 성능은 낮지만 비용 효율성이 높아 더 많은 사용량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.<br>🚀 기존 유료 사용자에게 먼저 제공되며, 이후 무료 사용자에게도 단계적으로 적용될 계획임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9941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7위 #### '시리' 출시 실패한 애플, AI 부서 해체·재편 예정 > 🍏 애플이 '완성형 시리' 개발에 실패하며 AI 전담 부서를 해체 및 재편할 예정임.<br>🤖 로봇 사업부가 AI 부서에서 분리되어 하드웨어 부서로 이전되며, 내부 갈등과 조롱이 이어지고 있음.<br>⚠️ 애플은 AI 기능을 홍보하는 데 대한 경고를 받아 큰 오점을 남기고 있으며, 내부 반응은 부정적임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9967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8위 #### 알트먼 "새로운 챗GPT, 아첨 심해...수정할 것" > 🤖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챗GPT가 지나치게 아첨하는 성향을 보인다고 수정할 계획임.<br>🛠️ 최근 업데이트 이후 사용자들이 챗GPT의 과도한 긍정적 반응을 지적하고 있으며,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 중임.<br>📊 전문가들은 AI가 사용자 피드백을 학습하면서 아첨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고 있음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70038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9위 #### "2030년에는 데이터센터에 AI 칩 200만개 투입...구축 비용은 270조" > ⚡ AI 기술 발전에 따라 데이터센터의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, 2030년에는 200만개의 AI 칩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됨.<br>💰 이 데이터센터의 구축 비용은 약 27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, 전력 수요도 엄청난 수준으로 증가할 것임.<br>🌍 그러나 데이터센터의 과도한 에너지 소비와 환경적 영향이 우려되며, 일부 기업은 프로젝트 축소를 고려하고 있음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9947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 ## 10위 #### MS, 생성 AI로 광고 제작...3개월간 아무도 눈치 못 채 > 🖥️ 마이크로소프트(MS)가 생성 AI를 활용해 광고 제작에 시간과 비용을 90% 절감했음을 밝힘.<br>🎨 AI가 인간 창의성에 도움을 주며, 광고 제작 과정에서 수천 개의 프롬프트를 통해 결과물을 가다듬은 어려움도 있었음.<br>👁️ 이 광고는 3개월 동안 온라인에 있었으나, AI가 제작한 것을 알아차린 사람은 거의 없었음. >[!원문 보기]- > <iframe src="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70020" width="100%" height="800" frameborder="0" style="min-height: 100vh;"></iframe> ---